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탐욕스러운 식욕의 원인과 통제 방법 과식의 종말 /데이비드 A. 케슬러 /문예출판사 “몇 천 년 동안 별다른 변화가 없었던 사람들의 몸무게가 1980년대에 들어와서 뚜렷한 변화의 조짐을 보였다. 미국 성인인구의 약 3분의 1이 심각한 과체중이며, 아주 짧은 시간동안 사람들의 몸무게가 급격히 늘었다. 왜 이렇게 되었을까?” .. 더보기 상처와 슬픔을 치유하는 장소와 사람들의 이야기 영란 /공선옥 /뿔 퍼시 애들론 감독의 <바그다드 카페>는 뚱뚱한 중년여성이 커다란 트렁크와 함께 사막 한가운데 버려지는 장면으로 영화가 시작된다. 관광여행 중 남편과 싸운 끝에 사막에 홀로 내려버린 쟈스민은 정처 없이 걷다가 ‘바그다드 카페’라는 곳에 도착한다. 모텔의 .. 더보기 철학자 강신주가 쓴 자유의 시인 김수영 론 김수영을 위하여 /강신주 /천년의 상상 한번 보면 잊히지 않을 커다란 눈을 한, “이것이 시인의 얼굴이다”라고 할 만한 시인 김수영의 사진이 실린 민음사의 『거대한 뿌리』는 내가 읽은 최초의 시집이었다. 두고두고 그 의미를 되새기게 했던 그의 시들은 어떤 배경에서 쓰인 것이며 .. 더보기 열 가지 키워드로 본 일본인의 정신세계 일본정신의 풍경 /박규태 /한길사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, 일본에 대한 숱한 정보 속에서도 일본과 일본인에 대해 제대로 소개하는 책을 본 기억은 별로 없다. 일본의 진짜 얼굴을 알고 싶다는 생각을 하고 있던 참에 일본인의 정신세계를 철학과 종교, 문화를 바탕으로 규명한 한양대 박.. 더보기 새롭게 읽는 동화, 새롭게 열리는 세상 동화독법 /김민웅 /이봄 김민웅의 《동화독법》은 우리가 익숙하게 읽어온 동서양의 동화와 옛이야기를 조금 다르게 읽고 해석하는 책이다. 목회자, 언론인, 국제문제 전문가 등 다양한 삶의 이력을 갖고 있는 그는 동화와 민담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중심으로 정치학, 철학, 문학의 융합.. 더보기 건축가가 바라본 도시 공간 서울 서울은 도시가 아니다 /이경훈 /푸른숲 『서울은 도시가 아니다』는 서울이라는 도시공간을 건축가의 입장에서 바라본 책이다. 저자인 이경훈은 건축과 교수로, 이 책에서 우리나라 대도시의 특징을 집약해서 갖고 있는 상징적 공간으로서 서울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다양한 각도에서 조.. 더보기 정치에서 가능성을 찾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정치학 강의 정치의 발견 /박상훈 /폴리테이아 “민주주의를 싫어하는 사람들조차 민주주의를 직접 공격하지는 못한다. 대신 그들은 정치와 정당, 정치가를 욕하고 비난함으로써 민주주의의 위력을 무력화하고자 한다.” 전 고려대 정치학과 최창집 교수의 말이다.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는 많은 .. 더보기 문학을 통해 보는 러시아인의 삶과 예술 백야에서 삶을 찾다 /오종우 /예술행동 끝없이 펼쳐진 자작나무숲이 끝나면 넓은 초원이 이어지고, 여름이 되면 밤이 깊어도 해가 지지 않는 백야가 계속된다. 유난히 춥고 긴 겨울 탓에 문학과 예술이 발달했다는 러시아를 생각하며 오종우 교수의 《백야에서 삶을 찾다》를 읽었다. 저.. 더보기 이전 1 ··· 5 6 7 8 9 10 11 ··· 19 다음